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

지장간(1) 오늘은 지장간에 대해 기본적인 사항을알아봅니다. 1. 지장간 지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초기(여기)임10계9무7갑10을9무7병10정9무7경10신9무7중기  신3병7 계3경7기9을3임7 정3갑7정기(말기)계20기18갑16을20무18병16정11기18경16신20무18임16 2. 지장간은 무조건 외워야 함   필자 나름대로의 암기 방법 소개합니다    남자子가 임壬이 계癸 신 곳에 가서, 축丑 계신기 요? 하고 물었다    (답하길) 인寅에 임하여 무병 으로 잘 지내지만 갑 갑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묘卯 사하기를 갑을 로 시작하는 천간을 외우다가, 진辰 짜로 을계무가 안 외워진다고 했고, 또한, 일본 사巳 무라이들의 무경 병법도 잘 익혔는데, 오午! 이런 병기 이름은 정말 모르.. 카테고리 없음 2024. 7. 7.
정(화)-천간의 네번째 글자 1. 정(화)에 대해 알아 봅니다사주심리부드러우며, 온화함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음정(화)는 금을 녹일수 있고, 밤에 하는 직업/주로 삶을 보내는 시간이 적절함 물상형상달, 별, 뜨거운 물건(물질)(관련)지지午(지장간이 병, 기, 정) 정(화)를 불러옵니다인체심장/혈액/뇌신경, 안목, 머리적천수(원문풀이)丁火柔中 內性昭融 / 抱乙而孝 合壬而忠(정화유중 내성소융 포을이효 합임이충)- 음의 불인 정화는 유연하고   중화를 이루고 있지만,   그 안에는 사물을 밝히고   녹이는 화의 성질을 갖추고 있으며,   을목의 어머니를 품에 안아   신금으로 부터 보호하여 효도하고,  군주인 임수와 합하여   무토로부터 지켜내어 충성한다 旺而不烈 衰而不窮 如有嫡母 可秋可冬(왕이불렬 쇠이불궁 여유적모 가추가동)- 그 기운이.. 카테고리 없음 2024. 7. 7.
병(화)-천간의 세번째 글자 1. 천간의 3번째 글자인 병(화)에 대해 알아봅니다.사주심리악세서리를 즐겨하고, 옷을 화려하게 입음영적 에너지가 많아 철학,종교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많음통상적으로 낮에 하는 일이 적성에 맞음물상형상태양(만물을 골고루 비춤/자애로움/        불교적인 면 강함)에너지, 불교, 빛 관련 직업, 전공이 맞음(관련)지지巳(지장간이 무, 경, 병) 병화를 불러옴인체소장/어깨/뇌신경,안목,머리적천수(원문 풀이)丙火猛烈 欺霜侮雪 / 能煅庚金 逢辛反怯(병화맹렬 기상모설 능단경금 봉신반겁)- 병화는 화기가 매우 뜨겁고 세차니,   가을의 서리나 겨울의 눈을 기만하고   업신여기며,    경금을 보더라도 능히 이를   녹여버릴수 있지만,   신금을 만나는 것은 오히려   겁을 낸다 土衆成慈 水猖顯節 / 虎馬犬鄕.. 카테고리 없음 2024. 7. 7.
24절기(1) 이제 24절기를 가장 잘 암기 할 수 있는노래를 소개해드립니다.한자견문록 (글항아리. 임형석 지음)에소개된 대표적인 중국의 "절기가"입니다. 춘우경춘청곡천 春雨驚春淸穀天                             봄비가 봄을 놀라게 하니 청명 곡우의 날씨이고        간략해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끝의 천(天)은 글자수를 맞춤용 글자) 하만망하서상련 夏滿芒夏署相連                  여름은 까끄라기 가득하고 여름더위 이어지네          간략해설)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끝의 서상련이 소서, 대서를 표현) 추처노추한상강 秋處露秋寒霜降                  가을은 이슬 속에 있고 가을 추위에 서리 내려간략해설)입추, 처서, 백로, .. 카테고리 없음 2024. 6. 30.
을(목)-천간 두번째 글자 1. 천간 두번째 글자인 을(목)에 대해사주심리.- 끊임없는 집착   ① 큰 나무를 의지하고자하는 욕구   ② 혼자서 살아가기보다는        누군가에 의지하여 사는 것이         편안함.- 잡초와 같은 끈질김과    생존 능력.- 곡선적 운동   (갑목의 직선적 운동과 대조를 이룸)물상형상화초, 풀, 넝쿨식물, 곡식 등 곡선적 목의 기운(관련) 지지卯(지장간이 갑, 을 입니다)인체간 / 하지,골절,신경관절/두발,신경계적천수(원문 풀이)乙木雖柔 刲羊解牛 懷丁抱丙 跨鳳乘猴(을목수유 규양해우 회정포병 과봉승후)-乙木(을목)은 비록 여리고 약하다고 하지만,  월일지에 미토나 축토를 만나도 (해수 가 동물로 양, 축토가 소입니다) 마음대로 뿌리를 내릴 수 있고,  병화나 정화가 천간에 떠 있으면,  지지.. 카테고리 없음 2024.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