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1)
이제 24절기를 가장 잘 암기 할 수 있는
노래를 소개해드립니다.
한자견문록 (글항아리. 임형석 지음)에
소개된 대표적인 중국의 "절기가"
입니다.
춘우경춘청곡천 春雨驚春淸穀天
봄비가 봄을 놀라게 하니 청명 곡우의 날씨이고
간략해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끝의 천(天)은 글자수를 맞춤용 글자)
하만망하서상련 夏滿芒夏署相連
여름은 까끄라기 가득하고 여름더위 이어지네
간략해설)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끝의 서상련이 소서, 대서를 표현)
추처노추한상강 秋處露秋寒霜降
가을은 이슬 속에 있고 가을 추위에 서리 내려
간략해설)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동설설동소대한 冬雪雪冬小大寒
겨울에 눈 내리고 눈 내린 겨울에는 작고 큰 추위
간략해설)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소대한이 소한, 대한을 표현)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절기는 농사와의 관련된 것은
물론 양생, 즉, 생명,자연,인생, 우주
등에서 자연스럽게 느끼는
감각과도 깊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요즈음의 MZ 세대를 통칭하는
입춘대길, 초복에는 삼계탕을 먹어
몸을 보해야 한다,
처서부터 추워지기 시작한다 등
일상생활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은 중언하지 않겠습니다.
중국의 맹자는 공자를 평하여,
“성지시자(聖之時者)”라하였을 만큼,
공자는 국가, 사회, 개인에
있어서의 시간이 갖는 중요성을
깊이 이해한 성인이었다.
시간에 대한 단상
각 개인의 사주 원국은 현재에서
판단하고자하는 사주명리가의
시간보다 항상 앞서고 있습니다.
당연히 내담자는 일정 시간을
(**내담자는 자신의 사주가
궁금하여 명리가를 찾오는 일반
대중을 말함)
살아 온 뒤의 결과를 가지고
사주명리가에 찾아온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주명리가는 과거를 살피고
현재, 미래를 판단하게 됩니다.
시간적으로는 과거가 현재를 초래한
원인이지만, 알고보면,
판단하는 시점인 현재가
제일 유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면, 현재는 과거를 역사적
(즉, 시간적으로) 규정하고 평가하고
한계짓는 잣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과거로서의 사주 원국은
현재의 사주명리가의 해석을 통해서
그 의미와 위상을 부여받게 됩니다.
즉, 사주의 본인의 과거의 선행(先行)은
과거에 대한 현재의 규정을 통해
바뀔 수 가 있기때문입니다.
A라는 내담자가 그의 과거에서
A라는 방식으로 살아왔다면,
A의 사주원국의 분석을 통해
과거로부터의 삶의 변경 혹은
유지와 더불어 미래에는
어떤 방식으로 살아 갈수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각각의 사주원국의 해석은
동양철학의 도움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향철학적으로
사주를 풀어내는 도움이 없다면
개인의 시간성에 대한 의미의
해석이나 판단도,
어려울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옛 성인의 동양고전을
틈틈이 읽어나가시길 권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