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

중국의 사주명리학 발전단계 아래 도표는 중국의 사주명리학의 발전단계를 시대별로 나타낸것이며,역사적인 의미로서 간단하게 어떤 중요한 단계가 있는지를 알 필요가있어서 소개드리니, 중요한 부분(굵은 글자, 밑줄)은잘 기억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은나라은허유적. 갑골(거북이 껍질 혹은 소의 어깨뼈들을 사용)의 금이 간 형태를 보고 점을 친 흔적을 발굴이 시대에는 제사(주술 형태)문화가 상당히 발전한 나라 였으며,유적에서 발견되는 각종 제기들을 통해서 확인 가능최근에 발간된 "상나라정벌"이라는 책에서는 당 시대에 인신공양의흔적도 많이 발견되어 하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도 함주나라동주의 낙록자의 낙록자삼명소식부(후대학자에 의하면 위서라는 의견도 있슴 )춘추전국시대*현존하는 자료중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는 아주 적은데,  주로 만민영의 ..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23.
청나라 건륭황제의 사주팔자 1. 아주 유명한 사주 사례 청나라 건륭황제의 사주팔자를 소개합니다.       건륭황제는 (1711~1799) 청나라의 제6대 황제로,  스스로를 십전노인이라 즉, 열번의 원정을 전부 승리로 이끈 노인이라는 의미로 칭하고, 60년간의 황제로서의 통치를 통해 강희제, 옹정제로부터 이어져오는 청나라 태평성세를 장식한 황제 입니다.  아래의 4글자(지지의 4글자)가 자오묘유라는 글자로 구성되어 아주 특이한 사주팔자로 고전의 책에 많이 인용되는 사주입니다.                             丙 庚 丁 辛(병 경 정 신)                         子 午 酉 卯(자 오 묘 유) 일단 한번 보시라는 의미에서, 풀이가 어떻게 되는지 파악하자는 의미에서 보여드립니다.2. 사주 풀이필자..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23.
사주가 같은 사람은 몇명일까? 아주 당연한 의문이겠지만, 나와 같은 사주를 가진 사람은 얼마나되고?비슷하게 살아가는걸까? 아니면 다를까? 23년 대한민국에서 새로이 출생한 사람중 동일한 사주는 몇 명일까?를가지고 의문을 풀어봅시다. 먼저, 전 세계 인구를 가지고 추산해보면, 사주팔자를 구성하고 있는 사주는  60갑자(갑자, 을축등으로 셀때의 60갑자)로년, 월, 일, 시 각각  60갑자이니,이 세상에 존재 가능한 사주의 숫자는 60⁴=1,296만개(3천년에 걸쳐나오는 수)입니다. 본 계산은 머리속에 천간 10개 글자와 지지 12개 글자를 생각하며 보시기바랍니다. 즉, 1년간       년주에는 12개의 월주가(12개월이니) 따라 오고,       월주에는 30개(한달의 평균은 30일)의 일주가 따라 오고,       일주에는 12개의..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16.
사주명리학의 기본정신 아래에 소개해드리는 내용은 필자가 원광디지털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학업을 할 당시에 명리학 개론에 나오는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는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구절입니다.(따로 허락을 구한건 아니고, 이 자리를 빌어 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쓰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아래 내용을 천천히 음미 해보시고, 관련 한자도 같이 알아두시면 좋을 듯합니다.특히, 추길피흉이라는 말은 사주명리학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니, 외워둡시다. 安分知足 (안분지족)- 분수를 편안히 여기고 만족할줄 알면趨吉避凶 (추길피흉)- 길함을 추구하고 흉함을 피할것이고制欲中節 (제욕중절)- 욕망을 제어하고 절도를 지키면敎化治平 (교화치평)- 가르침의 조화와 정치가 태평할것이다. 然而 (연이) -그러나 逆命不知足(역명부지족)-자신의 운명을 ..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16.
사주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기본 이론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전에 사주는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대한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사주를 해석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학자들마다 다른 견해를말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필자는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아래와 같이 몇몇대표적인 방법으로 구분하여 보았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해석방법들을 다 혼합하여 풀이하는 것이 대부분일것이나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잘 맞는 방법으로 주로 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요. ㅁ강약의 분석에 의한 방법     8개 글자의 강약을 분석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일주의 강약, 월령(월주의 지지,    태어난 달) 분석, 각 글자간의 상생 및 상극에 기초한 분석으로 사주를 딱     보았을때 제일 먼저 떠올라야 합니다.(그렇게 되도록 공부를 많이 해야합니다) ㅁ격국의 분..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