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에 대해(1)
1. 음양 1) 기원태양의 향배에 따라 밝고, 어두움을 나타내는 말로써, 중국의 고대 문헌인 시경,상서등에는 음 과 양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음은 어두운곳, 그늘, 덮어가리다, 북쪽의 의미로, 양은 온난함, 밝음, 화려함, 별, 남쪽의 의미로 사용 되었다고 합니다.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음 과 양은 음양으로 결합되었으며, 낮과밤의 변화, 계절의 주기, 시간의 변화과정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길흉보다는 음양의 상태가 무너졌을 때 발생하는 “불규칙한 기상현상“, 기상이변을 초래하는 자연재해로 해석되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좌전 양공 28년(B.C 545) "봄에 얼음이 얼지 않았다...."라고 쓰여있는데,이는 음이양을 감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음양의 세력 균형이 무너져서 음기..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6. 8.
명리(명 과 리)의 개념과 천인 합일
오늘은 명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명리(명리) = 명 + 리 = 하늘의 명령(천명지리) + 자연의 이치(자연지리) = 천지자연이 부여한 질서, 원리, 규칙, 법칙 = 수명, 관상, 골격, 신체의 장단 등 인간의 생물학적 속성과 빈부귀천, 재능, 도덕성, 욕구등의 자연에게서 주어지는 특성 **위 설명중 천명에 대한 역사학적 의미는 다른 편에서 소개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내용이 방대하기에 어느정도 공부가 된후에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 명리학의 이론적 토대 1)천인합일(내재적 개념으로 천인감응) 주역에서는 천지의 큰 덕은 만물을 낳는 것 (천지대덕왈생)이라 하였고, ..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6. 8.
천간 10글자, 지지12글자
여러분, 오늘은 천간에 오는 글자 10개와지지에 오는 글자 12개를 먼저 눈으로(눈팅)익히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먼저 눈으로 익힌 후에 음양,오행에 관한 설명을 듣고 나면 이해하기 쉬우며기본 단계에서 먼저 많이 외우기만 하려고하면 재미가 없어 집니다.그래서 오늘은 눈팅만 하시면 됩니다. 1. 천간 10 글자 1) 갑,을은 목(나무)의 기운으로 이해하고, 갑목은 크고, 곧은 나무를 상상하면되고, 을목은 잡초, 꽃, 풀등으로 생각합시다. 모든 글자는 암기해야하며, 한자도 같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2) 병,정은 화(불)의 기운으로 이해하고, 병화는 태양으로, 정화은 촛불로 이해하면됩니다 3) 무,기는 토(흙)의 기운으로 이해하고, 무토는 아주..
사주 명리의 이해
2024.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