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양오행에 대해(2)

사주 박사 2024. 6. 8.

2.. 오행(오행)의 개념

 

1) 오행의 기원

 

최초에는 육부(六府)--> 오재(五材)-->오행(五行)

순서로 전개되었는데,

** 육부 = , , , , , ()-좌전 문공 7

   여기서 현재에는 없는 곡은 목 과 유사하여

   목에 의미를 합하여 오재가 됨

 

2) 오행의 (원래가지고 있는 형질)

    : 성질의 특성

 

  ①목(봄)

     체: 따뜻함/ 부드러움

     성질:곡직(굽고, 곧은 것)

     특징: 위로 쭉 뻗는 성질이 대부분이며,

              막힘없는 소통을 의미하기도 함

              동량을 키우는 교육자의 의미도

              있습니다

 

  ②화(여름)

      체:밝음/ 뜨거움

      성질:염상(불꼿과 타오르는 것)

      특징: 불사른다는 의미이며, 무성하게

               퍼져나간다는 뜻도 있슴

               빛, 해, 달 등의 의미도 잘 기억

               하기바랍니다 

 

  ③토(계절들 사이의 간기)

     체:흩어짐을 모으고 지탱하는 것

     성질:가색(심고 거두는 것)

     특징: 땅과 관련된 기운, 중화의 원리,

              통합의 기운등으로 이해 

 

  ④금(가을)

     체:강함/ 차가움

     성질:종혁(따르고 변화되는 것)

     특징: 마르고, 세고, 굳건함을 상징하고,

              숙살지기를 가집니다. 이는

              가을의 쌀쌀한 기운을 말하는데,

              의사, 군인, 경찰의 직종들이

              대표적입니다

 

⑤수(겨울)

    체:차가움/ 빈 것

    성질: 윤하(적시고 내려가는 것)

    특징: 엉기고 응결되는 것, 감춤의 의미이고

             아래로 흘러가는 성질, 적셔주는 의미

             바다, 강, 하천 등의 의미로 이해하기

             바랍니다.

 

3) 오행의 상생과 상극

 

 

- ,, , , 수의 5행 상호간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생(돕는다로 이해) 혹은

  상극(충돌한다, 해를 끼친다)관계를 형성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낮 과 밤이 생기고,

  그 낮과 밤을 통해

  고대인들은 음양의 변화를 생각하였을 겁니다.

  구체적인 음양이라는 단어로 생각하기보다는

  밝음, 어둠이 있다는 의미일 테지요.

 

  그리고, 지구의 공전을 통하여 발생하는

  계절의 현상(*봄, 여름, 가을, 겨울)을

  통해 삶의 전체를 흐르는

  음양과 오행의 변화를 알 수 있었을 겁니다.

 

- 오행의 상생은, 여름, 가을, 겨울의 순환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상생의

  에너지는 자연 그대로의 순환의 에너지라 

  볼 수 있습니다.

 

- 오행의 상극은 오행의 상생하는 순환에서

  바로 다음을 극하는 모습으로 나옵니다.

  즉, 위그림에서 보듯이 화기는 바로 옆의

  토기를 상생하지만,

  한자리 건너의 금기를 상극하고 있습니다.

 

- 필자는 아주 주요한 에너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자연의 흐름을 따라가는 상생의 에너지가 클까?

  아니면 상극하는 에너지가 클까를 생각해봅니다.

 

  다시말해서 자연계의 순환이

  목기가 화기를 상생하는 에너지와

  목기가 토기를 상극하는 에너지가 클까에 대한

  고민 이었습니다.

 

  물리적 법칙은 잘모르지만

  자연그대로의 순환 에너지 보다는

  당연히 뭔가를 극하는

  에너지가 더 클 것이라는 생각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이것은 사주의 통변시 상생의 기운을 가진

  사주와 극하는 기운을 가진 사주의 풀이에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목 일간을 가진 A라는 사람은

  사주 원국에

  금의 기운이 없을때 ,

  대운에서 금의 기운이 온다고 했을때,

  일간의 행동이나, 사고에 큰변화를 격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용신이 금기일때, 화기를 가진 대운이

  들어 올 때도

  마찬가지임으로  이점을 잘 이해하기 바랍니다.

'사주 명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천간과 12지지의 정리  (0) 2024.06.14
음양오행의 배속 원리  (4) 2024.06.09
음양오행에 대해(1)  (5) 2024.06.08
명리(명 과 리)의 개념과 천인 합일  (4) 2024.06.08
3대 명리학자와 서울의 봄  (6) 2024.06.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