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의 이해

천, 지, 인 3자의 구도

사주 박사 2024. 6. 2. 09:59

사주명리의 8개의 글자는 천,지,인의 3자구도로

되어있습니다.

1) () : 현실에 나타난 모습(창조성의 발생)

                 -사주팔자의 천간의 4글자에 나타난 사주의

                  외연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구현되는 합, 충의 변화도 명료하고,

                  다른 변화들도 즉각적인 결과를

                  나타나며, 지지에 비하면 명확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2) () : 내재하는(비시간적인) 집단적 무의식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 즉, 스스로 느끼지

                 못하나 과거의 인간관계로부터 내려오는

                 오랜 시간속에 축적된 생각들을 가진

                 존재입니다.

                 사주팔자에서 각각의 지지의 4글자들에

                 속해있는 "지장간"에 들어있는

                 글자들로 지장간의 모습 그 자체가 인간

                 사회의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아래 도표에서 각 지지별 초기, 중기, 여기라고 되어있는 곳에

글자들이 표현되어있는데, 숫자는 일단 신경쓰지말고, 

어떤 글자들이 오는지 보시기 바랍니다.

자 밑에는 임계, 축 밑에는 계신기....이런식으로 오는 글자들이

지장간입니다. 뒷편에서 지장간에 대해서만 따로 설명 

드릴겁니다. 그런데, 정말 중요한 부분으로 사주명리학을

공부하기위해서는 지장간을 다 암기해야 합니다.

사주명리 공부의 90%는 암기 입니다(*^^*)

 

3) () : 시간적인 여건들(Event),

                 즉, 현실에 처해있는 상황, 환경이나

                 사주팔자에서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내재적인 모습입니다.

                 변화도 오랜시간에 걸쳐 나타나며,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데,

                 사주팔자에서 지지의 4글자이며,

                 천간의 글자들의  뿌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에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번 편은 여기까지 입니다. 잘 암기하고, 이해하고

따라 오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