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의 이해
사주명리학의 기본정신
사주 박사
2024. 5. 16. 21:07
아래에 소개해드리는 내용은 필자가 원광디지털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학업을 할 당시에 명리학 개론에 나오는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는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구절입니다.
(따로 허락을 구한건 아니고, 이 자리를 빌어 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쓰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아래 내용을 천천히 음미 해보시고, 관련 한자도 같이 알아두시면 좋을 듯합니다.
특히, 추길피흉이라는 말은 사주명리학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니, 외워둡시다.
安分知足 (안분지족)- 분수를 편안히 여기고 만족할줄 알면
趨吉避凶 (추길피흉)- 길함을 추구하고 흉함을 피할것이고
制欲中節 (제욕중절)- 욕망을 제어하고 절도를 지키면
敎化治平 (교화치평)- 가르침의 조화와 정치가 태평할것이다.
然而 (연이) -그러나
逆命不知足(역명부지족)-자신의 운명을 거스리고 만족할줄 모른다면
趨吉反爲凶(추길반위흉)-길함을 추구한다 하더라도 오히려 재앙이 될것이다.
過欲不中節(과욕부중절)-지나친 욕감(과욕)을 못지키면
敎治必爲亂(교화필위란)-교육을 하던 정치를 하든 모든행위가 반드시 혼란이
올 것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