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기본 이론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전에 사주는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사주를 해석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학자들마다 다른 견해를
말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필자는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아래와 같이 몇몇
대표적인 방법으로 구분하여 보았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해석방법들을 다 혼합하여 풀이하는 것이 대부분일것이나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잘 맞는 방법으로 주로 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요.
ㅁ강약의 분석에 의한 방법
8개 글자의 강약을 분석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일주의 강약, 월령(월주의 지지,
태어난 달) 분석, 각 글자간의 상생 및 상극에 기초한 분석으로 사주를 딱
보았을때 제일 먼저 떠올라야 합니다.(그렇게 되도록 공부를 많이 해야합니다)
ㅁ격국의 분석에 의한 방법
하나의 격을 정하고, 이 격을 도와주던지, 변화시키든지 간에 한 가지를 얻어야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칠살격의 경우, 칠살이 순수한지, 정관과 혼잡하여 탁한지, 용신에게
이로운지의 여부 등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순수하다는 말은 합,충, 극등이 없어 온전히 잘 쓰이는지로 일단 이해하시고,
탁하다는 말은 위의 예에서 보듯이 칠살(편관)이 정관과 같이 사주 8글자에
혼재하여 나타나 있는 상태를 말하고, 용신은 일간(자기자신)에게 가장 도움을
주는 글자로 일단 이해 합시다)
ㅁ조후의 분석에 의한 방법
기후와 조후를 이루는 방법에 의해 분석하는 것입니다. 8개의 글자가 이루는
한(춥다), 난(따뜻하다), 조(메말랐다), 습(습기가 많다)의 모습을 보아서 판단하는
방법인데, 최근에 사주 풀이를 하는 youtube 등 보면 이 부분을 많이 보는 것을
알 수 있더군요. 상대적으로 좀 뭐랄까요? 직관적으로 알기 쉽다고 할까요?
직관적으로 알기는 쉽다고 하지만, 풀이는 마찬가지로 어렵습니다.
ㅁ형상의 분석에 의한 방법
8개 글자의 형상만을 보아 서로 상생 혹은 상극하는지, 8개 글자의 흐름이 상생의
흐름으로 순탄하게 가는지, 끊기는 것은 아닌지에 의한 방법입니다.
ㅁ신살의 분석에 의한 방법
태극귀인, 문창귀인, 괴강살, 백호살 등 각각의 신살이 일간에게(사주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좋은지 혹은 나쁜지를 신살로만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중요한 신살류들을 참고만하지 전적으로 의지 하지는 않습니다.
이외 현대에는 중국의 고전 명리학적 틀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의 환경에 맞게 새롭게
분석하려는 학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용어의 설명과 해석학적 방법론의 차이로써
주위에서 쉽게 볼 수는 없으나, 나중에 이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도 할 예정입니다.
사주를 공부한 사람들이 어떻게 해석을 하는지 대략적인 감이 오시나요?
그런데, 사주풀이를 한다고 우리가 학교앞, 시내에서 많는 분들이 사주를 봐주시는 데
음양오행의 단순한 논리로만 설명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경우도 많이 봐온터라
다른 사람의 사주를 봐주려면 많은 공부를 스스로 해야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