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장간(1)
사주 박사
2024. 7. 7. 20:07
오늘은 지장간에 대해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봅니다.
1. 지장간
지지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
초기 (여기) |
임 10 |
계 9 |
무 7 |
갑 10 |
을 9 |
무 7 |
병 10 |
정 9 |
무 7 |
경 10 |
신 9 |
무 7 |
중기 |
신 3 |
병 7 |
계 3 |
경 7 |
기 9 |
을 3 |
임 7 |
정 3 |
갑 7 |
|||
정기 (말기) |
계 20 |
기 18 |
갑 16 |
을 20 |
무 18 |
병 16 |
정 11 |
기 18 |
경 16 |
신 20 |
무 18 |
임 16 |
2. 지장간은 무조건 외워야 함
필자 나름대로의 암기 방법 소개합니다
남자子가 임壬이 계癸 신 곳에 가서,
축丑 계신기 요? 하고 물었다
(답하길)
인寅에 임하여
무병 으로 잘 지내지만 갑 갑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묘卯 사하기를 갑을 로 시작하는
천간을 외우다가,
진辰 짜로 을계무가
안 외워진다고 했고, 또한,
일본 사巳 무라이들의 무경 병법도
잘 익혔는데,
오午! 이런 병기 이름은 정말 모르겠다.
미未리 정을 주기위해 기를 쏟았지만,
신申 중히 무임 승차하다가 경 찰에 잡혔다
유酉 치장에서 경신 차리고,
술戌 도 먹지않고 신정에 나온 무 를 갈며,
해亥가 넘어가도 무갑임 이다.
3. 지장간의 개념
- 지지속에 감추어져있는 천간의 성분
- 땅에 스면든 하늘의 기운(잠복한 기운)
4. 지장간의 속성
- 숨겨진 사실, 무의식, 잠재된 기운, 충격이나,
자극을 받아야
튀어나온다는 설도 있슴
- 한번 나오면 아주 질기고 오래감
5. 초기, 중기, 정기에 대해
1) 초기- 앞 지지의 지장간의 정기(말기)의
기운이 이어져 넘어오는 기운
2) 중기- 해당 지지의 3합을 결정짓는 기운
3) 정기- 가장 큰 비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운
오늘은 간단히 보지만, 지장간을 반드시 외우고
다음으로 넘어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