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에 대해(1)
1. 음양
1) 기원
태양의 향배에 따라 밝고, 어두움을
나타내는 말로써,
중국의 고대 문헌인 시경,상서등에는
음 과 양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음은 어두운곳, 그늘, 덮어가리다, 북쪽의 의미로,
양은 온난함, 밝음, 화려함, 별, 남쪽의 의미로
사용 되었다고 합니다.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음 과 양은
음양으로 결합되었으며,
낮과밤의 변화, 계절의 주기, 시간의 변화과정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길흉보다는 음양의 상태가 무너졌을 때 발생하는
“불규칙한 기상현상“, 기상이변을 초래하는
자연재해로
해석되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좌전 양공 28년(B.C 545)
"봄에 얼음이 얼지 않았다...."라고 쓰여있는데,
이는 음이양을 감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음양의 세력 균형이 무너져서
음기가 양기보다 약화된 것을 의미합니다.
즉, 행성의 궤도변화로인해
음양의 균형이 깨져 기상이변을
초래하는 징조로 해석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기상현상을 설명)
2) 역경(주역)에서의 음양론
역경에는 위의 두 기호, 즉 양의 부호, 음의 부호인 두가지
효 로써이루어진 64괘와 그에 따른 효사와 괘사로써
천지자연의 원리를 설명합니다.
대립통일 사상으로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즉, 모든 사물에는
각 사물마다 내부의 음양 즉, 서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존재하는데,
두 세력은 서로 제약하기도하고,
서로를 보완하기도 하면서
생성, 변화, 발전, 소멸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3) 양/음 을 나누는 기준
-순서대로 예를 들었습니다.
양의 사레/음의 사례
- 공간적
:천/지, 일/월, 상/하, 전/후, 좌/우, 외/내, 표/리, 동/서, 남/북
- 시간적
:주/야, 춘하/추동, 생장/수장, 오전/오후
- 10천간지과 12지지
: 갑병무경임/을정기신계, 자인진오신술/축묘사미유해
- 동정(음직임/고요함)
: 동/정, 승(오름)/강(내림), 출(나가고)/입(들어옴),
진(나아감)/퇴(물러남), 발산/수렴, 팽창/응축
- 성질
:화(불)/수(물), 강(강함)/유(부드러움),
명(밝음)/암(어두움),
온열/냉한, 경/중, 조(마르다)/윤(윤택,습하다),
청(맑다)/탁(탁하다), 남/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