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의 이해

명리(명 과 리)의 개념과 천인 합일

사주 박사 2024. 6. 8. 11:11

오늘은 명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명리(명리) = +

    = 하늘의 (천명지리) + 자연의 (자연지리)

    = 천지자연이 부여한 질서, 원리, 규칙, 법칙

    = 수명, 관상, 골격, 신체의 장단 등 인간의 생물학적 속성과

       빈부귀천, 재능, 도덕성, 욕구등의

       자연에게서 주어지는 특성

 

    **위 설명중 천명에 대한 역사학적 의미는 다른

       편에서 소개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내용이 방대하기에 어느정도 공부가

       된후에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 명리학의 이론적 토대

   

    1)천인합일(내재적 개념으로 천인감응)

 

       주역에서는 천지의 큰 덕은 만물을 낳는 것

       (천지대덕왈생)이라 하였고,

       또한, 천지가 있은 연후에 만물이 생겨난다

       (유천지연후 만물생언)고 하였습니다.

       인간은 이 만물의 하나이기에 천지로부터

       부여받은 생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만물을 만든 천지는 지속적으로

       만물을 관장하고 있지 않겠습니까?

       그러니, 서로 교감하고, 감응한다는 말이

       나온것입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만물중에 인간이 으뜸이라

       천지자연을 대우주라 하고,

       인간을 소우주라 하여, 천지자연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강조하고있습니다.

 

      중국의 고대에 정치적으로 천자(천자)라 일컫는

      왕의 다른 이름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통설에 이러한 대우주, 소우주의 개념과

      천인감응 등은

      한의학에서는 인간의 몸을 대우주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소우주로서의 인간의 몸을 보았으며,

      풍수지리학, 사주명리학등

      다양한 모습으로 뻗어 나가게 되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천인합일은 천지자연과 인간은 하나이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천인감응은 이러한 하나가되는 과정에서

      상호교감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입니다.

 

      주역의 건괘의 4()

      , , , 입니다.

      이는 시작하고, 성장하고, 이루고, 완성한다는

      개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사주명리학에서

      년(, ), (, ), (, ), (, )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바로 이렇게 하늘과 하나가 될 수 있고,

       감응을 하기 때문에

       천도 변화를 보는 원리를 이해한다면

       인간의 명을 이해 할 수

      있다는 논리가 나오는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사주명리학에서는 음양오행을

      사용합니다.

      **음양오행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회에

         올리겠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명리(명리) = +

      = 하늘의 명령(천명지리) + 자연의 이치(자연지리)

      = 천지자연이 부여한 질서, 원리, 규칙, 법칙

      = 수명, 관상, 골격, 신체의 장단 등

         인간의 생물학적 속성과

         빈부귀천, 재능, 도덕성, 욕구등의 자연에게서

         주어지는 특성

 

이렇게, 천지자연이 인간에 부여한

천성은(천명지위성, 중용) 교감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천명과 천성의 연결하는 고리가

바로 氣()이고, 음양오행의의 기(기운)으로

인간과 자연을

연결한다고 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