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의 이해

사주명리학을 위한 여정의 시작

사주 박사 2024. 5. 7. 21:17

인사드립니다

저는 부산에서 사주명리학을 약 10여년간 연구하고 있고, 가장 쉽게 사주명리학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자

본 블로그를 열게 되었습니다.

 

간단한 제 소개를 하자면...

부산에서 초, 중, 고, 대학(경영학 전공)까지 졸업하였으며, 아주대MBA 석사학위를 받은 뒤, 사주명리학의

체계적인 공부를 해보고자, 원광디지털대학교 동양철학과(4년제로 3년만에 졸업/사주명리학 전공)에서

학위를 받았습니다. 울산에서는 훌륭하신 선생님으로부터 평생 잊지 못할 사주명리학에 대한 개념을 이어

받게되는 기회도 있었습니다.

 

최초로 동양철학을 공부하게된 계기는 진주에서 근무를 할 당시 풍수지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꾸준히 동양철학관련 공부를 하다가, 울산에서 근무하면서 울산대학교 평생 교육원의 사주명리학

수업을 받게 된 것이 계기(위에서 말한 훌륭하신 선생님과의 인연의 시작)가 되어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지금은 사주명리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책을 쓰고 있으며, 아마도 6개월내 작은 책자가 소개될 예정

입니다.

 

일관된 원칙은...

1) 철저히 중화(중용)의 원리를 따른다는 것

2) 쓸데없는 내용은 버리고, 가장 핵심만을 알기쉽게 설명

3) 본 블로그의 내용만을 꾸준히 보면, 중급정도의 실력을 가지게 만들자는 것

4) 제목을 상세히 적어서 원하는 부분을 찾아보기 쉽게 만들자는 것

5) 적천수의 내용이 가장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점

    (적천수는 자평진전, 난강망과 더불어 사주명리학의 3대 보서라 불리움)  

 

 

블로그의 내용에 대해...

되도록 쉽게 사주명리학을 이해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초기 몇편은 가능한 쉽게 기초적인 부분을 소개

할 것이며, 후반부로 가면서 초급과 중급의 사이에 위치한 일주론을 좀 길게 설명할 것입니다.

 

1)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는 이유 등(왜 사주명리를 알아야 하는가?

2) 기본적인 천간, 지지의 내용

3) 격(국)~합, 충 등에 이르는 기본 이론

4) 일주론 등

5) 중급 이상의 내용 등

6) 공부하기에 좋은 책 소개

이러한 순서로 본격적으로 다루게 될 에정 입니다. 물론 중간에 사주관련 재미있는 일화등도 소개할 예정입니다.

 

책은 출판되어 나오는 순간 그 운명이 정해진다고 합니다. 

본 블로그를 쓰기 시작하는 오늘 그 운명이 정해져 있겠지요.

성실하게 잘 따라오신다면 좋은 성과를 거두리라 믿습니다.

 

오늘은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