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주명리학 발전단계
아래 도표는 중국의 사주명리학의 발전단계를 시대별로 나타낸것이며,
역사적인 의미로서 간단하게 어떤 중요한 단계가 있는지를 알 필요가
있어서 소개드리니, 중요한 부분(굵은 글자, 밑줄)은
잘 기억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은나라 | 은허유적. 갑골(거북이 껍질 혹은 소의 어깨뼈들을 사용)의 금이 간 형태를 보고 점을 친 흔적을 발굴 이 시대에는 제사(주술 형태)문화가 상당히 발전한 나라 였으며, 유적에서 발견되는 각종 제기들을 통해서 확인 가능 최근에 발간된 "상나라정벌"이라는 책에서는 당 시대에 인신공양의 흔적도 많이 발견되어 하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도 함 |
주나라 | 동주의 낙록자의 낙록자삼명소식부 (후대학자에 의하면 위서라는 의견도 있슴 ) |
춘추전국 시대 |
*현존하는 자료중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는 아주 적은데, 주로 만민영의 삼명통회에 있는 자평설변 편이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중국의 명리학이 초기에 발전한 과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명리학은 낙록자로부터 시작하는데 (귀곡자와 같은 시대의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슴) -->한나라 동중서, 사마계주, 동방삭, 엄군평에게 전수 -->삼국시대의 관로, 진나라시대 곽박, 북제의 위녕에게 전수 -->당나라시대 원천강, 일행(승려), 이필 -->이허중에게 전수” 귀곡자(귀곡자전서) |
진나라 | 분서갱유로 많은 책이 불태워지고, 학문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 시대적 상황 |
한나라 | 동중서(춘추번로:음양오행론의 체계) 왕충(논형:정명론을 통한 이론적인 초석) |
삼국시대 | 관로 |
서진,동진 | 곽박(육조신응진경) |
16국, 남북조 시대 |
특별히 알려진 자료가 없슴 |
수나라 | 소길(오행대의:음양론과 오행론에 관란 제반 학설의 집대성) |
당나라 | 원천강 **이허중(이허중명서:오행의 생극제화와 납음오행, 신살등을 중심으로 사주를 해석한다. 사주를 년,월,일로 정의하고, 년주를 중심(당시에는 국가가 -->국가자리인 년의 중요)으로 한다) (당대의 유학자 한유의 한창려문집에 수록된 전중시어사이군묘지명에 이허중에대한 약술된 전기가 있는데, 기 기록에 의하면 “그는 처음으로 년,월,일의 간지를 중심으로 인간의 길흉화복을 추론하였다“고한다 |
오대십국 | 특별히 알려진 자료가 없슴 |
송나라 | **서승(자는 자평, 호는 사척 및 봉래수)--> 자평법이라는 말의 기원 가장 중요한 사람으로 년주 중심에서 일간 중심으로 바뀌는 계기 1. 일간중심(이 시대는 개인중심)의 간명법,즉 간지의 생극제화의 방법으로 운명 예측/연해자평 2. 중국 태화산 서봉동에 은둔하며 사람의 운명이 사주팔자에 나타나있음을 증험해보였다고 전해짐 |
요-서하-금 | 특별히 알려진 자료가 없슴 |
원 | 장신봉(신봉통고명리정종) |
명 | **유기(적천수)-->3대 중요 서적의 하나로 본 연재의 주요 근간을 이루는 서적 장남(명리정종) 만민영(=만민육=만명영)(삼명통회:명리이론의 종합서 성격) |
청 | 진소암(명리약언)(적천수집요) **심효첨(자평진전)-3대 중요 서적의 하나 **여춘태(난간망) -->3대 중요 서적의 하나 임철초(적천수천미)-->유기의 적천수 풀이 |
근, 현대 | 서락오(궁통보감/난간망을 1937년 출판) (조화원약/궁통보감을 해설한 책,1941년) 원수산(명리탐원) / 위천리(명학강의) / (팔자제요) 오준민(명리신론) / 화제관주(명학신의) / 하건충(팔자심리학) |
이상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그 주요한 내용은 차근차근 보기로 합시다.
'사주 명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 지, 인 3자의 구도 (2) | 2024.06.02 |
---|---|
천간 10글자, 지지12글자 (4) | 2024.05.31 |
청나라 건륭황제의 사주팔자 (2) | 2024.05.23 |
사주가 같은 사람은 몇명일까? (0) | 2024.05.16 |
사주명리학의 기본정신 (0) | 2024.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