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의 기본 형식
1. 사주팔자의 기본 형식
각 주(기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년의 아래,위의 두 글자, 월의 아래,위의 두 글자, 일의 두 글자, 시의 두 글자를
각각 년주, 월주, 일주, 시주로 기둥을 말하는 것이며, 사주팔자명리학이라고 할 때 팔자(8개의 글자)는 년,월,일,시
각 2글자씩 전체가 8글자 임으로, 다른말로 하자면 사주는 4개의 기둥, 팔자는 8개의 글자로 명리(운명의 이치)를
해석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천간(하늘) : 외면의 세계(의식의세계:자아)를 말하며, 어떤 변확가 발생시 빠르게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세계를 의미
지지(땅) : 내면의 세계를 말하며, 어떤 변화가 아주 느리게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세계를 의미
지장간(인간) : 땅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다양한 무의식의 세계를 나타내며, 이 지장간은 사주풀이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으로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뒤에서 자세히 설명)
복습의 의미에서, 사주팔자의 형식에서 천간의 4글자는 외면의 세계(겉으로 드러나는 세계)를 나타내며, 지지의 4글자는 내면의 세계를 나타냅니다. 지장간은 인간을 나타내는데, 지장간의 수많은 글자들은 무의식 속의 지향점이 어디로 표현될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많다는 것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사주 풀이를 하다보면 지장간에 숨어 있는 글자가 용신(뒤에서 설명)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원국-사주팔자의 8개의 글자를 사주 원국이라고함-에 없는 경우 등)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고”라고 부르고 싶을 정도의 다양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무의식 세계에서의 의식으로의 체계화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발생된, 즉, 창고의 개방이 곧 의식으로의 표현이 될 수 있음을 말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참고로, 사주팔자의 8개의 글자가 년,월, 일,시의 오른쪽에서 시작하는 이유는 한자문화권인 중국에서 발전하여 온 학문
이기에 오른쪽에서부터 년~시 의 순서대로 표기합니다. 최근에 한국에서는 왼쪽에서부터 년~시 표기하는 책들을 볼 수가
있는데, 어차피 중국의 고전을 공부해야하는 바, 전통적인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
2. 사주 기본형식의 다른 표현
자, 이제 년주부터 시주까지 어떤 의미로 나뉘어지고, 사주풀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알아봅시다.
위 도표의 내용중 오늘은 시간 개념과 가족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년주는 한 인간의 인생의 나이대가 0세에서 15세(최근에는 수명이 길어져서 20세까지도 계산합니다)까지
인생을 나타냅니다. 사주풀이에서 초년의 인생을 얘기할때 주로 년주를 봅니다. 그럼, 인생 말년을 볼때는
당연히, 시주를 보게 됩니다. 즉, 45세~60세(최근에는 60세`80세)까지의 인생을 보게 됩니다.
그러면, 눈치채셨겠지만, 한 인간의 인생을 볼때 년주부터 시주까지 (그림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전체를 보는 것입니다. 즉, 사주풀이시에 어떤 한 인간의 인생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게 되는 것이지요.
년주는 조상(부모)를 나타내는데, 초년에 어떤 집안,조상, 부모(가정환경 관련) 밑에서 태어났지를 알 수 있고,
월주는 부모(형제)와의 관계를 보고, 일주는 나(자기 자신)를 나타냅니다.
일주의 천간은 나를 말하고, 일주의 지지는 배우자를 나타냅니다. 이것이 바로 나중에 일주론에서 상세히
보게 될 일주입니다.(나와 배우자의 관계, 나와 자식들과 관계등 전부 일주론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시주는 자식을 나타내는데, 자신의 말년의 인생은 자식의 인생과 그 궤를 같이함으로 의미가 남다르다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주의 기본형식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회에는 사주에 관한 일화를 소개하면서 본격적인
연재를 시작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주 명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나라 건륭황제의 사주팔자 (2) | 2024.05.23 |
---|---|
사주가 같은 사람은 몇명일까? (0) | 2024.05.16 |
사주명리학의 기본정신 (0) | 2024.05.16 |
사주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2) | 2024.05.16 |
사주명리학을 위한 여정의 시작 (0) | 2024.05.07 |
댓글